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유동성 확보, 연방준비은행과 정부의 차이

by TECO 2024. 3. 13.

돈을 푼다는 의미는 곧 유동성을 늘린다는 의미로 통합니다. 

보통은 돈을 풀면, 유동성이 풀리니 물가가 올라가며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.

 

그런데 어느 주체가 돈을 푸냐에 따라 이 결과가 달라지기도 합니다.

연방준비은행이 유동성을 확보하는 경우

연방준비은행은 금리를 조절하여 유동성을 공급,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.

리먼브라더스 사태 이후, 금리를 하락시킨후 시장에 유동성을 증가시킨 경우

미국의 연방준비은행(정식 명칭 Federal Reserve System) 이 금리를 의도적으로 내려서 시장에 돈을 푼다면, 유동성을 부여한다면, 돈이 풀리는 곳이 금융계이기 때문에 이 말은 자산시장에 돈이 풀린다는 말입니다. 연방준비은행의 유동성은, 연방준비은행의 지급준비금과 비슷하게 흘러갑니다. 

2008~2024년 지급준비금, 단위는 십억달러입니다.

2008년 발생한 금융위기의 한 부분이었던 리먼브라더스 사태를 이해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습니다. 이 사태를 극복하기 위해 연방준비은행(Fed)을 비롯한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금리를 낮추는 정책을 시행하였습니다. 이는 경기침체를 막고, 금융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함입니다. 금리를 낮추었음에도 불구하고, 디플레이션이 발생한 이유를 알아봐야겠죠?

 

① 이미 자본시장에 유동성이 많이 확보되었으며, 부동산상품을 예로들면 모기지상품, 프라임모기지, 서브프라임모기지 등 자본시장에 수많은 상품들이 유출되었고 은행과 소비자들은 이에 맞춰 대출상품을 이용했습니다. 이 말이 유동성이 이미 엄청나게 공급되었다는 것이죠.

② 금융위기는 은행들이 돈을 빌려주는 것을 꺼리게 만들며, 기업과 가계에 대한 대출이 축소되었으며 이에 따라 경제활동이 더욱 위축되는 결과가 나타났습니다.

③ 사람들의 소득이 감소했고 실업률이 증가하며 소비가 줄어들며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감소했습니다.

정부가 유동성을 확보하는 경우

정부는 채권을 발행하여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

 

다만, 정부가 돈을 푸는 것은 사람들에게 돈이 직접적으로 지급되는 셈이니, 이 말은 즉슨 실물경제에서 수요가 증가하며 소비가 증가하는 것입니다. 예를 들어 2020년 중국에서 시초 한 바이러스 covid-19 시절에 정부가 채권을 발행하거나 직접정부지원금을 지급한 경우이죠. 이렇게 되면 직접적으로 사람들의 수요를 창출하게 되는 것입니다. 돈을 사용할 수 있게 금 되니 소비를 하든 투자를 하든, 주식이나 부동산을 사든 경제에 직접적인 활력을 주는 것입니다. 이 때문에 연준이 유동성을 확보한 경우와 달리, 인플레이션을 발생하는 것이죠.

2008~2024년 단기채권금리

채권을 발행하는 경우, Treasury-Bill 등의 단기국채를 발행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 채권을 거래하면, 이 거래된 돈은 또 다른 곳인 부동산, 주식 등 으로 흘러들어 갑니다. 유동성은 물과 같이 촉촉하기도 하고 마르기도 하고 이곳에서 저곳으로 흐르기도 합니다.

 

유동성의 취지

유동성은 세계경제 경기의 과열을 막거나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적정한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.

연방준비은행과 미 정부는 표면적으로는 독립적입니다. 하지만 과연 독립적 일지는 의심해 볼 가치는 있습니다. 다만 연방준비은행과 정부가 유동성을 다루는 경우 완전히 독립적이지 않기도하고 때로는 서로가 비슷한 취지로 흘러가기도 하고, 다르게 흘러가기도 합니다. 이는 우리가 알 기 힘든 그들만의 영역이지만, 객관적인 지표와 현상, 역사적 사례를 바탕으로 지켜볼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하겠습니다.

유동성은 물과 같이 촉촉하기도하고 마르기도하고 이곳에서 저곳으로 흐르기도 합니다.